호남대, ‘대학혁신지원사업’ 선정…최고 혁신대학 ‘우뚝’

4차산업혁명시대 국가혁신성장 선도할 ‘대학혁신 표준모델’ 제시

‘학생의 꿈 실현시켜 주는 교육감동A+대학’ 미래형 창의인재양성

광주·전남 유일선정, 국내대학 ‘교육대계’ 초석 제공 ‘시범 사업’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통해 국가의 혁신성장을 견인할 미래형 창의인재양성을 선도해 나갈 대학 혁신모델을 제시하는 교육부의 시범 국책사업인 ‘2018 대학혁신지원사업(PILOT)’에 호남대학교(총장 서강석)가 선정(예비)됐다.  

이로써 호남대학교는 지방대특성화(CK-1)사업 6관왕,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사업,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LINC+)사업,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등 대형 국책사업을 석권하고 '2018 대학 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에 (예비)선정된데 이어,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됨으로써 국내 최고의 미래형 혁신대학임을 입증했다. 

교육부는 8월 16일 호남대학교와 성균관대, 중앙대 등 뛰어난 대학혁신역량을 갖춘 전국 11개 대학을 ‘2018 대학혁신지원사업’ 대학으로 선정했다. 사업기간은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6개월이며 이 기간 동안 20억여원의 국가재정을 집중 지원받아 대학의 자율적 혁신을 추진한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교육패러다임의 대전환을 통해 신 성장 동력 발굴·육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등 국가의 혁신성장을 선도하기 위한 교육부의 시범 국책사업이다. 이 사업은 올해 실시한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으로 최종 선정돼 내년부터 막대한 국가재정을 지원 받게 될 대학들에게 바람직한 대학 혁신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대계에 초석을 세우는 매우 중차대한 국책사업이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유일하게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된 호남대학교는 ‘학생의 꿈을 실현시켜 주는 교육감동A+대학’을 교육 비전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창의융합(Creativity),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소통능력(Communication), 자신감(Challenge)의 4C 소프트 스킬을 갖춘 전문인 양성을 혁신 모델로 제시했다.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호남대학교의 전략은 ‘WISE-X’이다. ‘WISE-X’는 ‘무엇을 잘 준비할 것인가?’(Well-prepared), ‘무엇을 연결할 것인가?’(Inter-connected), ‘학생중심의 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Student-centered), ‘무엇을 근거로 환류해 나갈 것인가?’ (Evidence-based), ‘대학중점 육성분야 어떻게 실현해 나갈 것인가?’(X)를 표명한 것으로서 인프라,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성과 및 선도 분야 강화를 혁신분야로 하고 있다. 

서강석 호남대학교 총장은 "개교 40주년을 맞아 대학혁신을 통해 국가혁신성장을 견인할 미래형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대학혁신지원사업을 맡게 돼 어깨가 무겁다“며 “‘학생의 꿈을 실현시켜 주는 교육감동A+대학’을 비전으로 한 호남대학교의 혁신모델을 반드시 성공시켜 전국 대학으로 확산 시키는 것은 물론, 대학혁신의 표준모델로 평가 받을 수 있도록 총력을 쏟겠다.”고 밝혔다.

 

교육부의 ‘2018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된 11개 대학은 다음과 같다.

□수도권-△국민대 △성균관대 △중앙대

□대구·경북·강원권-△강원대 △대구한의대

□충청권-△대전대 △충남대

□호남·제주권-△호남대 △전주대

□부산·울산·경남권-△경성대 △동아대